2025년 대통령선거, 해외에 있어도 투표할 수 있습니다! 국외부재자 신고 대상, 방법, 기간까지 꼭 알아야 할 포인트만 정리했어요👇
🗳 국외부재자란?
국외부재자는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국내 유권자 중 해외 출장, 유학, 여행 등으로 선거일에 국외에 체류하는 사람을 말합니다.
✔️ 국내 주소가 남아 있기 때문에 ‘재외선거인’이 아닌 ‘국외부재자’로 별도 신고해야 해외 투표소에서 투표가 가능해요.
✅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국외부재자 신고기간
📌 2025년 04월 04일(금) ~ 2025년 04월 24일(목)
✅ 신고 기한 내 접수하지 않으면 투표 불가능
✅ 출국 전·후 모두 신고 가능 (단, 반드시 기간 내 완료해야 함)
✈️ 국외부재자 신고 대상자
항목 | 내용 |
대상 | 국내 주소를 둔 유권자 중,2025년 선거일에 국외 체류예정인자 |
예시 | 해외 출장자, 유학생, 교환학생, 여행자, 단기 파견 근무자 등 |
조건 | 만 18세 이상(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) |
국적 |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 |
📌 거소신고자나 재외국민은 ‘재외선거인’으로 신청해야 합니다.
📝 국외부재자 신고 방법
① 온라인 신청 (가장 간편)
- 메인 페이지 → ‘국외부재자 신고’ 클릭
- 여권번호, 주민등록번호, 이메일, 체류지 주소 등 입력
- 전송 완료 후 확인 메일 수신
📌 여권 사본 등 별도 서류 제출 필요 없이 5분 안에 완료 가능
② 오프라인 서면 신고
- 주소지 관할 구·시·군청 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
- 또는 가까운 재외공관(대사관·총영사관 등) 방문 제출
- ‘국외부재자 신고서’ 직접 작성 후 제출
📌 오프라인 접수 시 여권 사본 또는 신분증 지참 필요
🗓 국외투표 일정 (예정)
- 투표 기간: 2025년 5월 20일(화) ~ 5월 25일(일)
- 투표 장소: 각국 대사관, 총영사관 등 지정 재외투표소
- 필요 서류: 여권 또는 신분증, 온라인 신청 확인 이메일
📌 투표지는 외교행낭으로 국내로 송부되어 개표에 반영됩니다.
🔍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
✅ 국외에서 투표 불가합니다. 반드시 신고해야 해외투표 참여 가능!
Q. 국내에서 출국하기 전에도 가능할까요?
✅ 네, 출국 전에도 인터넷 또는 주민센터에서 미리 신고 가능합니다.
Q. 국외부재자와 재외선거인은 어떻게 다른가요?
- 국외부재자 → 주민등록 있는 유권자
- 재외선거인 → 주민등록 말소된 재외국민(영주권자 등)
✅ 마무리 요약
항목 | 내용 |
대상 | 국내 주소를 둔 해외 체류 유권자 |
신고 기간 | 2025.04.04 ~ 2025.04.24 |
신청 방법 | ok.nec.go.kr 또는 주민센터/공관 |
투표 기간 | 2025년 5월 20일 ~ 5월 25일 |
필요 서류 | 온라인 신청 시 없음, 오프라인은 신분증 |
💬 결론
해외에 있어도 투표는 권리이자 의무입니다.
단, 국외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자동 투표 권한이 생기지 않아요!
반드시 ‘국외부재자 신고’를 해야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
📌 지금 바로 중앙선관위 재외선거 사이트에서 5분 만에 간단 신청하세요!
당신의 한 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꿀 수 있습니다.